태풍 피해지역의 일상을 회복시키는
인천공항 글로벌 봉사단 22기 베트남 봉사
글/사진_이두희 팀장
편집_황가람 코디네이터
동아시아 평화공동체 구축을 위해 국제연대, 평화기행, 평화통일분야 연구를 이어오고 있는 사회적기업 (주)공감만세! 그동안 공감만세는 DB김준기문화재단의 드림빅 장학사업과 베트남 교육발전지원사업, 인천공항의 가치점프 해외탐방 등 다양한 사회공헌 사업을 지원하고 있는데요. 이번에는 인천공항공사 글로벌 봉사단 22기와 함께 베트남으로 해외봉사를 떠났습니다!
▲ 인천공항공사 글로벌 봉사단 22기 베트남 해외봉사단 모습1 (©공감만세)
(주)공감만세와 A-PAD KOREA는 인천공항공사와 함께 지난해 태풍 ‘야기’로 피해를 입은 베트남 북부 푸토성 히엔르엉면의 4가구를 위해 새 보금자리를 짓는 주거지원사업이 진행 중인데요. 2025년 4월, 푸토성 외무청과 인민위원회와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4개 가구를 선정하고, 7월부터 신축 주거지 지원을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9월 8일부터 13일까지 해외봉사를 떠난 42명의 인천공항공사 글로벌 봉사단 22기는 신축된 가구를 대상으로 직접 페인트 도색에 참여하며 완성의 마지막 손길을 더했습니다.
▲ 인천공항공사 글로벌 봉사단 22기 베트남 해외봉사단 모습2 (©공감만세)
▲ 인천공항공사 글로벌 봉사단 22기 베트남 해외봉사단 모습3 (©공감만세)
▲ 인천공항공사 글로벌 봉사단 22기 베트남 해외봉사단 모습4 (©공감만세
베트남에서는 건물 시공을 할 때 벽지 대신 페인트로 마무리를 하는데요. 1, 2일차에는 4개의 가구들을 모두 방문하여 페인트 도색 작업에 전념하며 시간을 보냈습니다. 3일차에는 히엔르엉면 인민위원회 및 주거지원대상 가구들과 함께한 주거 기증식 및 감사장 수여식이 열렸습니다. 안전하고 안락한 공간을 받게 된 가족들은 환한 웃음으로 감사 인사를 전했고, 봉사단원들과 함께 나눈 식사 자리에는 언어를 넘어서는 따뜻한 연대가 이뤄지는 순간이었습니다. 손을 맞잡은 그 순간, 국경을 넘어 이어지는 진심 어린 교류의 의미를 다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인천공항공사 글로벌 봉사단 22기 베트남 해외봉사단 모습5 (©공감만세)
▲ 인천공항공사 글로벌 봉사단 22기 베트남 해외봉사단 모습6 (©공감만세)
이번 22기 인천공항 글로벌 봉사단의 활동은 주거 지원에만 머무르지 않았는데요. 4일차에는 히엔르엉 중학교를 찾아 교육봉사를 진행했습니다. 위생교육, 문화교육, 음악수업 등을 통해 학생들과 어울리며, 물리적 지원을 넘어 미래 세대와의 교류와 성장을 함께하는 시간을 가졌싑니다. 길지 않은 수업이었지만 이번 활동이 아이들의 마음에 성장의 씨앗을 심고, 자신감을 북돋는 밑거름이 되리라 믿습니다.
▲ 인천공항공사 글로벌 봉사단 22기 베트남 해외봉사단 모습7 (©공감만세)
▲ 인천공항공사 글로벌 봉사단 22기 베트남 해외봉사단 모습8 (©공감만세)
▲ 인천공항공사 글로벌 봉사단 22기 베트남 해외봉사단 모습9 (©공감만세)
▲ 인천공항공사 글로벌 봉사단 22기 베트남 해외봉사단 모습10 (©공감만세)
이번 푸토성 봉사활동은 단순히 ‘집을 지어주는 일’이 아니었습니다. 그것은 무너진 일상의 조각을 다시 잇고, 서로의 삶을 연결하는 작업이었습니다. 인천공항공사 글로벌 봉사단은 앞으로도 지역 주민과의 파트너십 속에서, 공항이 단순한 교통 인프라를 넘어 세계를 잇는 따뜻한 연결의 거점이 될 수 있도록 꾸준히 걸어갈 것입니다.
공감만세 또한 인천공항공사의 사회공헌활동과 같이 더 많은 이들이 평화 연대의 길에 함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활동할 것 입니다. 우리는 오늘보다 더 나은 내일을 함께 꿈꾸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인천공항공사 글로벌 봉사단과 공감만세의 활동을 지켜봐주세요!
<연관 콘텐츠 보러가기!>
▶인천공항 글로벌 봉사단 22기, 베트남 봉사 오리엔테이션 진행!(클릭)
▶'어른이 되면 꼭 다시 오기로 약속했어요', DB 드림빅 장학생 공정여행을 떠나다(클릭)
사회적기업 ㈜공감만세는 지역 문제 해결과 지역 활성화를 돕는 대안을 발굴 및 실행합니다. 지속가능관광, 고향사랑기부제 키워드로 국내외연수, 연구&컨설팅, 생활인구 증대 사업,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운영, 국제교류 등 다양한 방식을 시도합니다.
더불어 지속가능관광지방정부협의회 사무국으로 활동하며, 지속가능한 관광 산업을 통한 인구 및 지역소멸 문제 해소 방안에 관한 활동도 이어 오고 있습니다.문의) 070-4351-4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