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한 대안을 찾는 사람들

공정한 대안을 찾는 사람들 [지속가능관광] 지역을 배우고, 미래를 그리다! 안성시·목원대 지속가능관광 프로젝트
  • 공감만세
  • 2025-09-22
  • 158

여행정보

여행장소
경기도 안성시
관련상품
안성시-목원대학교 지속가능관광 프로젝트

지역을 배우고, 미래를 그리다!

안성시·목원대 지속가능관광 프로젝트

 

글/사진_이현진 코디네이터

편집_황가람 코디네이터

 

 

사회적가치를 기반으로 개인과 사회, 지역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하는 사회적기업 (주)공감만세! 공감만세는 지난해부터 경기 안성시와 협력하여 안성형 지속가능관광 실행을 돕고 있는데요. 9월 10일부터 12일까지, 2박 3일간 목원대학교 경찰행정학과 학생들이 안성시를 찾아 2박 3일간의 특별한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이는 지난 7월 안성시-목원대학교 업무협약 체결 이후 진행된 실질적인 지속가능관광 모델 구축의 현장이었죠. 학생들에게 이번 안성 탐방은 강의실에서 배우던 이론을 실제 지역에 적용해 보는 시간, 그리고 안성의 다양한 관광자원을 직접 체험하며 지역사회를 깊이 경험하는 시간이었습니다!
 

▲ 안성시·목원대 지속가능관광 프로젝트 모습1(©공감만세)

▲ 안성시·목원대 지속가능관광 프로젝트 모습2(©공감만세)
 

학생들은 미리내마을과 안성팜랜드를 두팀으로 나누어 방문해 현장을 탐방하며 SWOT 분석과 이해관계자 분석 워크숍을 진행했습니다. 현장에서 지역 관계자들을 만나고 직접 이야기를 들으며 ‘관광’이 지역 사회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피부로 느낄 수 있었는데요. 특히 마지막 날 진행된 퍼실리테이션에서는 안성시청 공무원, 팜랜드 관계자, 미리내마을 주민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모여 학생들의 발표를 경청했습니다. 학생들은 현장에서 발견한 문제와 가능성을 발표했고, 지역 관계자들은 그에 대해 따뜻하면서도 현실적인 피드백을 전해주었습니다. 
 

▲ 안성시·목원대 지속가능관광 프로젝트 모습3(©공감만세)
 

▲ 안성시·목원대 지속가능관광 프로젝트 모습4(©공감만세)|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처음에 긴장되고 어렵게 느껴졌던 현장이 ‘지역을 위한 아이디어를 나눌 수 있는 곳’으로 느껴져 현장을 이해하고 공부하는데 있어서 자신감을 생겼다고 전했습니다. 더 나아가 행정에서 알 수 있는 것과 현장에 나와야만 알 수 있는 것들이 있음을 깨달을 수 있었다고 전했습니다.

답사 후 이어진 수업에서는 학생들의 진솔한 소감이 이어졌습니다. “처음엔 두려웠지만 직접 발표해 보니 자신감이 조금 생겼다”, “안성의 자원을 보며 창업 아이디어가 떠올랐다”는 이야기가 나올 만큼 현장 경험은 강렬한 울림을 남겼습니다.
 

▲ 안성시·목원대 지속가능관광 프로젝트 모습5(©공감만세)
 

▲ 안성시·목원대 지속가능관광 프로젝트 모습6(©공감만세)
 

▲ 안성시·목원대 지속가능관광 프로젝트 모습7(©공감만세)
 

▲ 안성시·목원대 지속가능관광 프로젝트 모습8(©공감만세)

 

이번 프로젝트는 학문적 지식을 지역 현안과 연결시키는 의미 있는 실험이었습니다. 안성의 풍부한 관광 자원과 목원대 학생들의 참신한 시선이 만나면서, 지역 활성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무엇보다도 ‘지속가능한 관광’이란 결국 지역 주민과의 상생 속에서만 완성될 수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했습니다.

이번 경험이 학생들에게는 배움의 장이 되고, 안성시에는 새로운 영감을 주는 계기가 되었기를 바랍니다. 앞으로도 공감만세는 지역과 청년, 그리고 주민이 함께 만들어가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다양한 시도를 이어가겠습니다.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립니다!

 

<연관 콘텐츠 보러가기!>
새로운 거버넌스의 시작! 안성시-목원대학교 업무협약 체결(클릭)

안성시 지속가능관광 정책 발굴 워크숍 후기 ①(클릭)

 

 

사회적기업 ㈜공감만세는 지역 문제 해결과 지역 활성화를 돕는 대안을 발굴 및 실행합니다. 지속가능관광, 고향사랑기부제 키워드로 국내외연수, 연구&컨설팅, 생활인구 증대 사업,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운영, 국제교류 등 다양한 방식을 시도합니다. 
더불어 지속가능관광지방정부협의회 사무국으로 활동하며, 지속가능한 관광 산업을 통한 인구 및 지역소멸 문제 해소 방안에 관한 활동도 이어 오고 있습니다.

문의) 070-4351-4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