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한 대안을 찾는 사람들

공정한 대안을 찾는 사람들 [교육∙컨설팅] 새로운 여정의 시작! 안성시 지속가능관광 전문가 양성과정(심화) 현장 스케치
  • 공감만세
  • 2025-08-18
  • 81

여행정보

여행장소
경기도 안성시
관련상품
2025 안성시 지속가능관광 전문가 양성과정(심화)

새로운 여정의 시작! 안성시 지속가능관광 전문가 양성과정(심화) 현장 스케치

 

글/사진_이현진 코디네이터

편집_황가람 코디네이터

 

 

지속가능한 여행 파트너 공감만세 지난 7월 25일, 설렘과 기대로 가득했던 '2025 안성시 지속가능관광 전문가 양성과정(심화)' 발대식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습니다! 입문 과정을 통해 소중한 인연을 맺었던 분들이 더욱 깊이 있는 배움과 실질적인 프로젝트를 위해 다시 모인 자리였죠. 안성시 지속가능관광의 성장을 향한 열정들이 한데 모여 그야말로 후끈한 현장이었습니다!

이날 발대식에는 안성시 문화관광과 관계자분께서도 직접 참석하시어 교육생분들을 따뜻하게 격려해주셨습니다. 안성시가 지속가능관광에 얼마나 큰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는지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고, 이러한 든든한 지원은 교육생들에게 큰 용기와 동기 부여가 되었답니다. 

 

▲ 안성시 지속가능관광 전문가 양성과정(심화) 발대식 모습1 (©공감만세)
 

발대식의 하이라이트는 심화 과정에 참여하는 9개의 팀이 야심 차게 준비한 사업계획서 초안 발표였습니다. 각 팀은 안성시의 숨겨진 매력을 발굴하고 지역 특성을 살린 기발하고 창의적인 관광 상품 아이디어를 발표하였습니다. 주요 아이디어로는 농촌체험마을 활성화 방안을 통해 지역 자원을 활용한 농촌 관광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거나, 안성시의 역사와 문화를 탐방할 수 있는 안성시 원도심 투어 상품 개발이 있었습니다. 또한, 가족 단위 방문객을 위한 아이와 부모님이 따로 또 같이 즐길 수 있는 관광상품 등 참가자들의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돋보였습니다.
 

▲ 안성시 지속가능관광 전문가 양성과정(심화) 발대식 모습2 (©공감만세)

 

이처럼 참가자들의 번뜩이는 아이디어와 열정은 현장에 참석한 모든 이들에게 좋은 인사이트를 주었습니다. 안성시의 실제 관광 환경을 분석하고 구체적인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며 실질적인 프로젝트 기획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서로의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시너지 낼 수 있는 부분들을 발굴하며, 함께 발전해나가는 모습이 정말 보기 좋았습니다.

 

▲ 안성시 지속가능관광 전문가 양성과정(심화) 발대식 모습3 (©공감만세)

 

발대식의 뜨거운 열기 이후, 각 팀은 사업계획서 초안을 더욱 구체화하고 다듬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저희 공감만세는 9개 팀과의 개별 미팅을 통해 BMC(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와 여행 계획서에 대한 컨설팅을 완료했습니다. 각 팀의 아이디어가 탄탄한 비즈니스 모델로 발전할 수 있도록 꼼꼼하게 점검하는 시간이었습니다.

이제 아이디어를 현실 가능한 것으로 만드는 중요한 다음 단계가 남아 있습니다. 8월 중으로 진행될 전문가 컨설팅 과정을 통해 각 팀은 최종 산출물인 BMC, 여행 계획서, 그리고 홍보물(포스터) 초안을 완성하게 될 예정입니다. 이번 심화 과정을 통해 탄생할 안성시 지속가능관광 전문가들이 안성시의 풍부한 관광 자원과 지역의 고유한 매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주민과 상생하는 지속가능한 관광의 성공적인 사례를 만들어나가기를 진심으로 기대합니다! 


지역 일자리를 창출하고, 주민소득과 연계하는 등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는 안성시의 지속가능관광 발전에 여러분의 지속적인 관심과 응원 부탁드립니다! 

 

 

<연관 콘텐츠 보러가기!>
2025 안성시 지속가능관광 전문가 양성과정(입문) 대전 선진지 견학!(클릭)

안성시 지속가능관광 전문가 양성과정(입문)을 마치며!(클릭)

 

 

사회적기업 ㈜공감만세는 지역 문제 해결과 지역 활성화를 돕는 대안을 발굴 및 실행합니다. 지속가능관광, 고향사랑기부제 키워드로 국내외연수, 연구&컨설팅, 생활인구 증대 사업,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운영, 국제교류 등 다양한 방식을 시도합니다. 
더불어 지속가능관광지방정부협의회 사무국으로 활동하며, 지속가능한 관광 산업을 통한 인구 및 지역소멸 문제 해소 방안에 관한 활동도 이어 오고 있습니다.

의) 070-4351-4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