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글] 당신에게 '공정여행'이란 어떤 의미인가요? (4탄)
글,사진_ 전략기획팀 오민화 코디네이터
“우리의 여행이 세상을 바꿀까”
공감만세의 캐치프레이즈이자, 공감만세의 대표이사인 고두환 대표님이 내신 책의 제목, 그리고 이 칼럼의 제목이기도 한 이 질문에 나는 이 글로써 대답하려 한다.
나 역시 공감만세의 여행이, 그리고 공정여행이 세상을 바꾸는지, 그리고 바꿀 수 있는지는 여전히 모르겠다,
하지만 공감만세의 여행은 “나의 세상”을 바꾸기에는 충분한 여행이었다.
![]()
![]()
8년 전, 2013년도의 여름, 여행의 인솔자로 함께했던 고두환 대표님께 물었다, “대표님, 지진 난다는데 괜찮은 거에요?” 공항에 내리자마자 핸드폰으로 날아온 지진경보 재난문자에 겁에 잔뜩 질려 공항철도를 타던 것이 내 첫 “공정여행”인 간사이 여행의 첫 기억이다. (다행히 위험할만큼 큰 지진은 발생하지 않았다.)
여행을 다니며 왜 일본 지하철 손잡이는 높이가 다른지, 건물들의 외벽에는 페인트칠이 안 되어 있는지, 우리가 일본으로 올 때 특정 항공사 비행기를 이용하고 한국으로 돌아갈 때는 다른 항공사의 비행기를 이용하는지, 버스를 대절하는 대신 지하철을 타는지 등 평소에는 전혀 하지 못한 질문들을 하게 되었고, 그러한 질문들의 답을 들을 수 있었다.
지하철의 손잡이는 문과 더 가까이 서있는 어린이와 노약자를 배려하기 위해서 더 낮게 위치한 것이었고, 건물의 외벽은 잦은 지진 때문에 따로 페인트칠이 안 되어 있던 것이었다. 출국과 귀국 때 다른 항공사를 이용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이유는 탄소발자국을 최소화하기 위함이었다.
공감만세의 공정여행은 나에게 “지속가능성” , “상생”, “공존” 등 다소 생소했던 개념들을 몸소 체험하게 해준 여행이었고, 그러한 개념들에 공감할 수 있게 된 나의 세상은 전환점을 맞이했다.
![]()
나는 그때의 경험으로 대학에서 ‘지속가능성’에 대해 공부했고, 인턴쉽을 결정했으며, 첫 직장 또한 결정하게 되었다.
공감만세의 공정여행이 세상을 바꿀 수 있는지는 미지수지만, 한 아이의 세상을 바꾸기에는 충분하다고 대답하고 싶다. 공정여행은 나에게 세상을 바꾸는 여행이었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에게도 그랬을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그렇게 한 사람 한 사람의 세상을 바꾸다 보면 언젠간 그 사람들이 모여 이루는 세상도 바뀌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답해본다.